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요점정리6

by 프로그래밍하겠습니다 2025. 3. 15.
728x90
반응형

🎶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문제들과 관련된 중요 내용들을 요점정리해보자.

1. DFD(데이터 흐름도) 구성 요소

프로세스(Process), 자료 흐름(Data Flow), 자료 저장소(Data Store), 단말(Terminator)

 

2. 집단화

클래스들 사이의 부분-전체 관계 또는 부분의 관계로 설명되는 연관성
 

3. 페르소나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분석을 위해 대상이 되는 목표 집단에 속한 사용자 유형의 대표가 되는 가상 인물
 

4. N-S(Nassi-Schneiderman) Chart

  • 논리의 기술에 중점을 둔 도형식 표현 방법
  • 연속, 선택 및 다중 선택, 반복 등 제어 논리 구조로 표현
  • 조건이 복합되어 있는 곳의 처리를 시각적으로 명확히 식별하는데 적합
N_S_Chart
[사진1] N-S Chart - 출처 : Multiple Branching - Nassi–Shneiderman diagram - Wikipedia

 

5. FEP(Front End Processor)

입력되는 데이터를 컴퓨터의 프로세스가 처리하기 전에 미리 처리하여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시간을 줄여주는 프로그램이나 하드웨어
 

6.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기업 내 각종 애플리케이션 및 플랫폼 간의 정보 전달, 연계, 통합 등 상호 연동이 가능하게 해주는 솔루션
 

7. Duplexing 

서비스 중단에 대비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예비 시스템을 동시에 운용하는 것
 

8. 재사용(Reuse)

이미 개발돼 인정받은 소프트웨어의 전체 혹은 일부분을 다른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유지에 사용하는 것
 

9. 소프트웨어 버전 등록 관련 용어

  • 체크아웃(Check-out) : 프로그램을 수정하기 위해 저장소에서 파일을 받아오며, 소스 파일과 함께 버전 관리를 위한 파일들도 받아옴
  • 체크인(Check-in) : 체크아웃 한 파일의 수정을 완료한 후 저장소에 새로운 버전으로 파일을 갱신하는 것
  • 커밋(Commit) : 체크인을 수행할 때 이전에 갱신된 내용이 있는 경우에 충돌을 알리고 diff 도구를 이용해 수정한 후 갱신을 완료함

 

10. ESB(Enterprise Service Bus)

애플리케이션 간 연계, 데이터 변환, 웹 서비스 지원 등 표준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솔루션
 

11. 소프트웨어 테스트

  • 검증(Verification) : 개발자 입장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명세서에 맞게 만들어졌는지를 점검하는 것
  • 확인(Validation) : 사용자 입장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게 구현됐는지 확인하는 것

 

12. X -> Y

X 가 Y 를 함수적으로 종속할 때
 

13. DB 설계 단계 중 물리적 설계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 접근 경로 설계
 

14. 논리적 설계

현실 세계에서 발생하는 자료를 컴퓨터가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특정 DBMS가 지원하는 논리적 자료 구조로 mapping 시키는 과정
 

15. 개념적 설계

정보의 구조를 얻기 위해 현실 세계의 무한성과 계속성을 이해하고,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으로 표현하는 과정
 

16. 이상(Anomaly)

  • 정규화를 거치치 않아 발생하게 되는 현상
  • 삽입 이상, 삭제 이상, 갱신 이상

 

17. 병렬 데이터베이스 환경 중 수평 분할

범위 분할, 목록 분할, 해시 분할, 조합 분할, 라운드로빈 분할

 

18. 매시업(Mashup)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기술
 

19. 피코넷(PICONET)

여러 개의 독립된 통신장치가 블루투스 기술이나 UWB 통신 기술을 사용해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
 

20. DPI(Deep Packet Inspection)

OSI 7 Layer 전 계층의 프로토콜과 패킷 내부의 콘텐츠를 파악하여 침입 시도, 해킹 등을 탐지하고 트래픽을 조정하기 위한 패킷 분석 기술
 

21. PLCP(Packet Level Control Processor)

패킷 교환 서브시스템에서 패킷 레벨 제어 및 경로 정보 처리 기능과 가입자 링크, 과금, 통계 자료 수집 등을 담당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