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OSI 참조 모델에 대해 알아보자.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참조 모델이란,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 이하 Protocol 이다.
OSI에는 7계층이 존재하는데, 1~3 계층을 하위 계층, 4~7 계층을 상위 계층이라고 한다.
(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 등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에 대한 규칙을 정의한다.
- 관련 장비 : 리피터, 허브
-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 : 비트
(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두 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 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 간 연결 설정과 유지 및 종료를 담당한다.
- 흐름 제어, 프레임 동기화, 오류 제어, 순서 제어 등의 기능을 한다.
- HDLC, LAPB, MAC, LLC, PPP 등의 표준이 있다.
- 관련 장비 : 랜카드, 브리지, 스위치
-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 프레임
(3)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이하 망 계층
- 개방 시스템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는 기능과 데이터의 교환 및 중계 기능을 한다.
-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 유지, 해제하는 기능을 하며, 발신지와 목적지의 논리 주소가 추가된 패킷을 최종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책임을 진다.
- 관련 장비 : 라우터
-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 패킷
(4)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논리적 안정과 균일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종단 시스템(End-to-End) 간에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 하위 3계층과 상위 3계층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며, 종단 시스템 간의 전송 연결 설정, 데이터 전송, 연결 해제 기능,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등을 수행한다.
- TCP, UDP 등의 표준이 있다.
- 관련 장비 : 게이트웨이
-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 세그먼트
(5) 세션 계층(Session Layer)
- 송, 수신 측 간의 관련성을 유지하고 대화 제어를 담당한다.
- 송, 수신 측 간의 데이터 전송, 연결 해제, 동기 처리 등의 대화를 관리하기 위해 토큰이 사용된다.
- 송, 수신 측 간의 대화 동기를 위해 전송하는 정보의 일정한 부분에 체크점을 두어 정보의 수신 상태를 체크하며, 이때의 체크점을 동기점이라고 한다.
-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 메시지
(🎃 동기점은 오류가 있는 데이터의 회복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종류에는 소동기점, 대동기점이 있다.)
(6)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 응용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세션 계층에 보내기 전에 통신에 적당한 형태로 반환하고, 세션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는 응용 계층에 맞게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 서로 다른 데이터 표현 형태를 갖는 시스템 간의 상호 접속을 위해 필요한 계층이다.
-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 메시지
(7)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사용자가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 응용 프로세스 간의 정보 교환, 파일 전송, 가상 터미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 메시지
728x90
반응형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요점정리 (0) | 2025.02.21 |
---|---|
보안 관련 신기술 - 블록체인, DLT, QKD, PET, 비트로커, PIA, 소프트웨어 에스크로, BaaS, OWASP, TCP 래퍼, 허니팟, DPI (0) | 2025.01.25 |
SW 신기술 - 증발품, OGSA, SOA, SaaS, CEP, 디지털 트윈, 텐서플로, 도커, 그리고 스크래피 (2) | 2025.01.23 |
SW 신기술 - 인공지능, 뉴럴링크, 딥 러닝, 전문가 시스템,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그레이웨어, 매시업, RIA, 그리고 시맨틱 웹 (0) | 2025.01.22 |
운영체제(OS) - Windows(GUI, PnP, OLE), UNIX, LINUX 그리고 MacOS (2) | 2025.01.17 |
정규화(Normalization) - 1NF, 2NF, 3NF, BCNF, 4NF 그리고 5NF (0) | 2025.01.08 |
데이터베이스 설계 - 개념적, 논리적, 물리적 설계 (0) | 2025.01.06 |
자료 구조 - 선형 리스트, 스택, 큐, 데크, 그리고 그래프 (0)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