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

SW 신기술 - 증발품, OGSA, SOA, SaaS, CEP, 디지털 트윈, 텐서플로, 도커, 그리고 스크래피

by 프로그래밍하겠습니다 2025. 1. 23.
728x90
반응형

🎶SW 관련 신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지난 포스트에 이어 SW 신기술에 대해 더 다양한 것들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SW 신기술 - 인공지능, 뉴럴링크, 딥 러닝, 전문가 시스템,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그레이웨어, 매시업, RIA, 그리고 시맨틱 웹

 

SW 신기술 - 인공지능, 뉴럴링크, 딥 러닝, 전문가 시스템,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그레이

🎶 SW 관련 신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1)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인간의 두뇌와 같이 컴퓨터 스스로 추론, 학습, 판단 등 인간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응용 분야에는 신경

ybbbb.tistory.com

 

(1) 증발품(Vaporware)

판매 계획 또는 배포 계획은 발표되었으나, 실제로 고객에게 판매되거나 배포되지 않고 있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2) 오픈 그리드 서비스 아키텍처 이하 OGSA(Open Grid Service Architecture)

애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한 웹 서비스를 그리드 상에서 제공하기 위해 만든 개방형 표준으로, 웹 서비스 표준을 적극적으로 따르고 기존의 웹 개발 툴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그리드는 한 번에 한 곳만 연결할 수 있는 WWW과는 달리 동시에 여러 곳을 연결할 수 있는 인터넷 망 구조이다.)

 

(3)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이하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 기업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인 정보시스템을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 단위나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하는 정보기술 아키텍치로, 기업의 IT 시스템을 비즈니스에 맞춰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 SOA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계층은 표현, 업무 프로세스, 서비스 중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저장 계층이 있다.

 

(4)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이하 SaaS(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의 여러 기능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소프트웨어로, 공급업체가 하나의 플랫폼을 이용해 다수의 고객에게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용한 만큼 돈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5) 복잡 이벤트 처리 이하 CEP(Complex Event Processing)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많은 사건들 중 의미가 있는 것만을 추출할 수 있도록 사건 발생 조건을 정의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 금융, 통신, 전력, 물류, 그리고 국방에서 대용량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요구에 실시간으로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이다.

 

(6)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현실속의 사물을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한 모델로, 실제 자산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최적화, 돌발사고 최소화, 생산성 증가 등 설계부터 제조, 서비스에 이르는 모든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주로 현실속의 사물을 대신해 다양한 상황을 모의 실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7) 텐서플로(TensorFlow)

구글의 구글 브레인 팀이 만든, 다양한 작업에 대해 데이터 흐름 프로그래밍을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로, C++언어로 제작되었고 구글 검색, 음성 인식, 번역 등 구글 서비스 전반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8) 도커(Docker)

컨테이너 기술을 자동화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소프트웨어 컨테이너 안에 응용 프로그램들을 배치시키는 일을 자동화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 컨테이너란 앱이 운영체제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파일들을 묶어놓은 패키지를 말한다.)

 

(9) 스크래피(Scrapy)

Python 기반의 웹 크롤링 프레임워크로, 코드 재사용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며, 대규모의 크롤링 프로젝트에 적합하다.

(🎃 크롤링이란 웹 상에서 URL, Link, 데이터 등의 다양한 정보 자원을 수집하여 분류 및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