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요점정리4

by 프로그래밍하겠습니다 2025. 3. 7.
728x90
반응형

🎶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문제로 나오는 각종 기출문제들에 대한 중요 내용을 요점정리 해보자.

1. UML 다이어그램 중 동적 다이어그램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순차 다이어그램, 상태 다이어그램            vs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 정적 다이어그램

 

2. 유스케이스 사용 시 특별한 조건이 만족할 경우에만 수행하는 유스케이스

확장

 

3. 유스케이스

  • 사용자 측면에서의 요구사항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할 내용을 기술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빠르게 파악함으로써 프로젝트의 초기에 시스템의 기능적인 요구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문서화 할 수 있음
  • 자연어로 작성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구조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다이어그램 형식으로 묘사됨

 

4. 아키텍처 설계 과정

설계 목표 설정 -> 시스템 타입 결정 -> 스타일 적용 -> 서브시스템의 기능, 인터페이스 동작 작성 -> 아키텍처 설계 검토

 

5. RPC(Remote Procedure Call)

응용 프로그램의 프로시저를 사용해 원격 프로시저를 마치 로컬 프로시저처럼 호출하는 방식의 미들웨어

 

6. ORB(Object Request Broker)

객체 지향 미들웨어로 코바(CORBA) 표준 스펙을 구현한 미들웨어

 

7. 코드 인스펙션

  • 프로그램을 수행시켜보는 것 대신에 읽어보고 눈으로 확인하는 방법
  • 코드 품질 향상 기법 중 하나
  • 정적 테스트 시에만 활용
  • 결함과 함께 코딩 표준 준수 여부, 효율성 등의 다른 품질 이슈 검사하기도 함

 

8. 체이닝(Chaining)

해시 함수가 서로 다른 키에 대해 같은 주소값을 반환해서 충돌이 발생하면 각 데이터를 해당 주소에 있는 링크드 리스트에 삽입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9. DLP(Data Leakage Prevention)

내부 정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보안 솔루션

 

10.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인터넷에 유통되는 모든 디지털 콘텐츠에 부여되는 고유 식별자

 

11.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공개키 암호 시스템을 안전하게 사용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보 보호 표준 방식

 

12. 빌드 자동화 도구 종류

Ant, Make, Maven, Gradle, Jenkins

 

13. 명세 기반 테스트

  • 원인-효과 그래프 검사 : 입력 데이터 간의 관계와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다음 효용성이 높은 테스트 케이스를 선정하여 검사하는 기법
  • 경계값 분석 : 입력 자료에만 치중한 동치 분할 기법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 중간값보다는 경계값에서 오류가 발생될 확률이 높다는 점을 이용
  • 비교 검사 : 여러 버전의 프로그램에 동일한 테스트 자료를 제공해 동일한 결과가 출력되는지 테스트하는 기법
  • 동치 분할 검사 : 프로그램의 입력 조건에 중점을 두고, 어느 하나의 입력 조건에 대해 타당한 값과 그렇지 못한 값을 설정해 해당 입력 자료에 맞는 결과가 출력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기법

 

14.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인터페이스 기능, 데이터 인터페이스

 

15. 위험 관리

위험 식별 -> 위험 분석 및 평가 -> 위험 관리 계획 -> 위험 감시 및 조치

 

16. 관계 데이터베이스의 정규화

  • 정규화를 거치지 않으면 여러 가지 상이한 종류의 정보를 하나의 릴레이션으로 표현하여 그 릴레이션을 조작할 때 이상 현상이 발생 가능
  • 하나의 종속성이 하나의 릴레이션에 표현될 수 있도록 분해해가는 과정
  • 이상 현상은 데이터들 간에 존재하는 함수 종속이 원인이 될 수 있음

 

17. 접근통제 정책

  • 임의 접근통제(DAC) : 데이터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신원에 따라 접근 권한을 부여
  • 강제 접근통제(MAC) : 주체와 객체의 등급을 비교해 접근 권한을 부여
  • 역할기반 접근통제(RBAC) :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접근 권한을 부여

 

18. on 옵션

  • CASCADE : 참조 테이블의 튜플이 삭제되면 기본 테이블의 관련 튜플도 모두 삭제
  • SET NULL : 참조 테이블에 변화가 있으면 기본 테이블의 관련 튜플의 속성 값을 NULL로 변경
  • SET DEFAULT : 참조 테이블에 변화가 있으면 기본 테이블의 관련 튜플 속성 값을 기본값
  • NO ACTION : 참조 테이블의 튜플이 삭제되더라도 기본 테이블의 튜플은 삭제 x

 

19. IPv4 / IPv6 주소 전환 기술

듀얼 스택, 터널링, 헤더 변환

 

20. HRN

우선순위 공식 : 대기시간 + 서비스 / 서비스       /     계산된 숫자가 클수록 우선순위가 높음

 

21. C Class에 속하는 IP address

192.0.0.0 ~ 223.255.255.255

 

22. MLFQ; 다단계 피드백 큐

특정 그룹의 준비 상태 큐에 들어간 프로세스가 다른 준비상태 큐로 이동할 수 없는 다단계 큐 기법을 준비상태 큐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개선한 기법

 

23. 지그비(Zigbee)

저전력, 저비용, 저속도와 2.4GHz를 기반으로 하는 홈 자동화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전력 소모 최소화

 

24. 클라우드 기반 HSM

  • 클라우드 기반 암호화 키 생성, 처리, 저장 등을 하는 보안 기기
  • 클라우드에 인증서를 저장하므로 기존 HSM 기기나 휴대폰에 인증서를 저장해 다닐 필요가 없음
  • 암호화 키 생성이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므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암호 기술이 가지는 보안 취약점 무시 가능

 

25. 올조인(AllJoyn)

오픈소스 기반의 사물인터넷 플랫폼으로, 서로 다른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기기들이 표준화된 플랫폼을 이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통신 및 제어가 가능하게 됨

 

26. CSMA/CD

버스 또는 트리 토폴로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전송하고자 하는 스테이션이 전송 매체의 상태를 감지하다가 유휴 상태인 경우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송이 끝난 후에도 계속 매체의 상태를 감지해 다른 스테이션과의 충돌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LAN 매체 접근 제어 방식

 

27. BitLocker

Windows 7부터 지원하기 시작한 Windows 전용의 볼륨 암호화 기능, TPM과 AES-128 알고리즘 사용

 

28. Hadoop 내 Map-reduce

  • Google에 의해 고안된 기술로써, 대표적인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병렬 처리 기법 제공
  •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래밍 모델
  • 임의의 순서로 정렬된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고 이를 다시 합치는 과정을 거침

 

29. ARIA

2004년 국가정보원과 산학연협회가 개발한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블록 크기는 128비트

 

30. Spanninng Tree Algorithm (STA)

브리지와 구내 정보 통신망(LAN)으로 구성된 통신망에서 루프(폐회로)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연결을 설정하는 알고리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