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형대수에서 임의의 행렬을 LU분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 LU 곱으로 표현
일반적으로 두 행렬을 곱할 때 계산량이 매우 많으므로, 임의의 정사각행렬을 하삼각행렬과 상삼각행렬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다면 계산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정사각행렬 A에 기본행연산을 반복 시행한 행렬이 상삼각행렬 U라면,
(🎃 E는 기본행연산에 대응하는 기본행렬이다.)
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 기본행연산에 대응되는 행렬은 가역행렬임에 유의하자.)
여기서, 기본행연산의 역연산에 대응하는 기본행렬도 하삼각행렬이 되기 때문에 다음 하삼각행렬 L이 성립한다.
결국, 정사각행렬 A는 하삼각행렬 L과 상삼각행렬 U의 곱인 A = LU로 표현된다. 이를 행렬 'A의 LU분해(LU decomposition)' 라고 한다.
2. LU 분해 예시
다음 임의의 행렬 A를 생각해보자.
기본행연산 2R1 + R3 -> R3 에 대응하는 기본행렬은,
기본행연산 16R2 + R3 -> R3 에 대응하는 기본행렬은,
따라서,
여기서 기본행연산에 대응하는 기본행렬의 역연산을 수행하면,
위와 같이 임의의 정사각행렬 A를 LU분해할 수 있다.
'선형대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형대수 - 벡터곱의 개념과 예제, 성질, 그리고 삼중곱의 의미 (1) | 2025.05.04 |
---|---|
선형대수 - 딸림행렬과 Cramer 공식 (0) | 2025.04.30 |
선형대수 - 행렬식의 기본 성질과 기본행연산과의 관계 (0) | 2025.04.22 |
선형대수 - 행렬식의 정의와 공식 및 행렬식 예제 (0) | 2025.04.16 |
선형대수 - 역행렬의 개념과 역행렬을 구하는 방법, 그리고 연립일차방정식 풀기 (0) | 2025.04.08 |
선형대수 - 여러가지 행렬들과 행렬연산 성질들 (0) | 2025.04.04 |
선형대수 - 가우스-조르단 소거법과 가우스 기본행연산 (0) | 2025.04.02 |
선형대수 - 행렬의 정의와 행렬의 덧셈, 스칼라곱, 그리고 곱셈 (0) | 2025.03.29 |